카테고리 없음

사회초년생이 현실적으로 <1억 모으는 방법>

오늘과 내일의 나의 기록 2022. 1. 16. 13:03
728x90
반응형

돈을 모으고 싶은 사회초년생 (20대)분들

그리고 이제 막 직장에 다니기 시작한 신입사원 주목!

 

 

오늘은 사회초년생이 현실적으로

1억 모으는 방법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우선 3가지 통장에 가입해야 합니다

(무조건 이득이기에 꼭! 가입하세요)

급여통장 : 금리 높거나 이득이 많은 통장 개설
청약통장 : 청년 3천만 원 이하 소득인 경우 청소년 청약통장 가입
파킹 통장(MMDA) 통장 : 금리 4~5%, 예금자보호 5천만 원

 

그렇다면 이제는 실생활에서 할 수 있는 작은

부자가 되는 습관들 3가지를 소개해드릴게요



1. 가계부 쓰기

적당히 쓰는 기준점이 없을 때 가계부를 쓰자
월 수입의 몇%를 식비로 지출하는가?라고 물었을 때 

바로 대답을 못하면 가계부를 사용하지 않는 것과도 같다

 

영업스킬 중에 '문간 발 들여놓기'라는 스킬이 있다. 

일단 문간에 발을 들여놓으면 계약까지 이어진다는 뜻이다. 

이 처럼 일단 아끼기를 시작해보자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쉽게 끊지 못했던 사소한 지출부터 줄이자.

예를 들어 쇼핑을 무료배송을 위해 5만 원어치를 무조건 샀다고 하면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해서 입어보고 필요한 옷만 하나만 구매하는 식이다

 

 

2. 펀드 투자

종잣돈을 적금으로 시작하는 시대는 갔다.
펀드로 투자? 마이너스가 되면 어떡하지?라는 걱정이 앞선다.

예적금을 하는 지금의 순간이 마이너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요즘은 금리가 낮아 0.7%가 평균이라고 한다면 물가 상승률은 1.5%다.

예를 들어 만 원짜리 책을 사서 

1년 뒤에 구매를 하려 하면 10,150원이 되어있는데 

예금에 둔 내 돈은 10.070원 밖에 안 되어있는 꼴이다.

적금 : 시간이 지나고 은행에서 이자 + 원금 받기
투자 : 공부해서 해결할 수 있는 게 절반, 나머지는 경험으로 채우는 것


<펀드 투자 이유 요약>
1. 예적금보다 펀드 투자가 이득이다
2. 경험이 쌓인다

 

 


3. 부수익 늘리는 활동을 해라

- 네이버 지식인 답변 : 한 달에 7천 원
- 마이 플레이스 영수증 등록
- 블로그 맛집 리뷰 : 체험단 5만 원, 10만 원

 

 

재테크가 꼭 주식에 돈을 투자하는 것만 의미하는 게 아니다

나도 모르게 새어 나가는 돈을 관리해서

종잣돈을 모아 투자 상태를 준비하는 게 재테크가 아닐까?

 

 


출처 : 머니하이 - 월급관리 코치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