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저연차 (신입)에게 중요한 것, 해야할 것

오늘과 내일의 나의 기록 2022. 3. 15. 17:24
728x90
반응형

꾸준한 학습과 고민의 결과를 직접 실행하며 경험을 쌓아야한다

이론을 잘 익혔는데 실천하지 않으면 아무 의미가 없다. 이론이 문제없이 정상적으로 잘 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이론을 실재로 업무에 적용해보아야 한다. 그 과정에서 문제상황 및 여러가지 과정을 겪게 되는데 이 때 내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것들이 나의 경험치로 축적이 된다. 그때 비로소 이론을 몸소 익히며 '나만의 것'을 체득하게 될것이다.

면접을 볼 때 항상 나오는 단골 질문을 생각해보면 쉽다. 특정 상황이 주어지면 그때 어떻게 대처하고 (또는 어떻게 생각하고) 진행을 하는지에 대한 근거를 묻는 질문을 한다. 한 마디로 대처능력을 묻는 질문이 많은데, 저연차에게는 이런 경험 하나하나가 연봉을 몇백만원을 올리는 것 보다 더 가치가 있을지도 모른다.
(그래도 난 연봉 중요해!!!!!)
[실생활 적용 꿀팁]

1. 블로그 포스팅
실재로 내가 자신 있는 분야는 아니지만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포스팅을 하다보면 해당 분야에 대한 지식이 올라가게 되어 있다.

회사 내 환경이든, 개인적으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통환 환경이든 내가 무엇인가를 '생각만 하지말고' 직접 '실천'할 수 있게끔 해야한다.

예시로
부동산을 공부하고 싶다면 단순히 이론을 공부하지 말고 실제 부동산 유튜브나 블로그, 카페 등을 통해 부동산 임대, 매매, 전세, 계약, 입지조건 등을 분석해서 실재 임장을 다니며 내가 본 부지가 실재로 좋은 조건을 갖춘 것이 맞는지 검증하는 식이다.

개발을 공부하고 싶다면 이론 공부 후, Html 편집기를 통해 웹으로 한 번 구현해보고, 이게 왜 이렇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하면 충분하다. (생활코딩으로 html css 기초 학습)

해당 분야 관련 지인이 있냐 없냐에 따라 속도가 달라지게 될것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도달하는 부분은 같다는 점에서 최대한 많은 나만의 경험을 만들기를 추천한다.

그리고 30대가 딱 되었을 때, 축적된 경험과 경험을 쌓기 위한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바뀌는 건 연봉이 될 수도 있고 어쩌면 회사가 아닌 다른 곳에서 활약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30대 이전까지는 최대한 많은 경험을 하는것이 저연차에게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한다.


-출처 : 브런치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