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아영이네 행복주택] 꼭 알아야 할 임대주택종류 7가지

그로잉총총이 개인기록 2022. 7. 24. 09:24
728x90
반응형

오늘은 꼭 알아야할 임대주택 종류 7가지를 살펴보며 유튜버 아영이네 행복주택의 아영이아빠가 생각하는 임대주택의 주거사다리 역할에 대해 살펴보려한다. 각기 다른 소득, 자산, 자동차기준과 면적, 거주기간 등을 알기 쉽게 표로 정리되어있고 LH는 지역본부와 자격완화 등의 차이가 있어서 SH 기준으로 소개한다.


임대주택이란?

1. 주택 빌려주기 : 전세임대

1~2% 금리로 최대 20년 동안 (반)전세로 살 수 있도록 돈을 빌려주는 것 
조건에 맞는 주택은 당첨자가 직접 구해야한다.

집 구하기 Tip
1. 해당 지역 공인중개사 연락처 확보
2. 전화로 조건을 말하고 약속 잡기
3. 하루 날 잡아서 집 둘러보기
4. 집 결정 후 계약 진행

> LH청년전세 임대 주택에 2번 당첨된 'Jay' 후기 영상 참고


 

2. 임대 빌려주기

임대주택의 조건 3가지

소득, 자산, 자동차의 기준이 낮은 순서

 


임대주택 왜 하는걸까?

임대주택 사다리 / 평균 보증금 -  이미지출처 : 아영이네 행복주택

임대주택의 취지는 저소득층도 영구임대, 매입임대를 시작으로 재개발, 국민임대, 장기전세 그리고 최종적으로 ' 내 이름으로 된 집'에 도달할 수 있게 사다리가 되어주는 것이다.

 

일반 부동산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가격으로 (반)전세를 지원하고 나아가 주거사다리를 한층 한층 올라오면 자연스레 보증금이란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내집 마련을 위해서는

1. 아영이네 행복주택은 행복주택에서 시작해 장기전세, 그리고 공공분양을 해도 좋고

2. 전세임대, 국민임대부터 시작해서 차근차근 내집마련을 해도 좋겠다.

 

제 자리에 멈춰있지만 않으면 기회는 언제나 주어진다.
안된다고 하지 말고 최소 10번은 지원하자.
접수는 공짜
합격하면 집 걱정이 사라진다

 


임대주택 7가지 종류, 거주기간, 유형?

임대주택 7가지 종류, 거주기간, 유형 -  이미지출처 : 아영이네 행복주택

1. 영구임대주택

최대 50년동안 반전세로 거주 가능한 아파트

주로 소형이고 지어진지 20년 이상

가격은 엄청 저렴함

 

2. 재개발임대주택

최대 10년동안 반전세로 거주 가능한 아파트

영구임대주택보다는 면적이 크지만 그래도 소형 (대부분 33m²이하, 1.5룸 정도)

 

3. 국민임대주택

최대 30년동안 반전세로 거주 가능한 아파트

50% 이상 방2개로 구성된 중형크기

 

4. 행복주택

최대 6~20년동안 반전세로 거주 가능한 아파트

대부분 방 1~2개로 구성

신혼부부, 대학생, 청년 비중이 80%

주변 시세보다는 저렴하지만 임대주택 중 비싼 편

 

강남구, 도곡동, 대치동에도 있는 장기전세주택

 

5. 장기전세주택

최대 20년동안 전세로 거주 가능한 아파트

대부분 방 3개, 방4개(약 114m²)

가장 큰 면적, 보증금

* 소득, 자산, 자동차 기준이 가장 높음

 

6. 매입임대

최대 20년동안 반전세로 거주 가능한 빌라, 다세대, 다가구 주택

관리비 없음, 저렴함

* 소득, 자산, 자동차 기준이 낮음

 


임대주택 7가지 

임대주택 7가지 요약 정리 - 이미지출처 : 아영이네 행복주택

[소득 기준 참고]

영구임대 : 소득 70%는 기초수급자, 장애인, 한부모, 국가유공자 등의 조건에 해당되어야 신청 가능하다

전세임대 : 신혼부부 소득 기준은 더 높다

행복주택 : 신혼부부 - 맞벌이의 유무, 청년 - 소득 기준에 따라 다르다

 

[총자산/ 부동산 참고]

임대주택 : 모든 자산 확인 (통장에 있는 돈, 주식, 땅, 자동차 등)

장기전세 : 부동산만 확인 (통장에 10억 있어도 신청 가능)

 

[평균 임대료]

소득, 자산, 자동차의 기준이 높을 수록 임대료/보증금은 높아지고 집 크기도 커짐

영구임대와 장기전세의 보증금 차이는 200배가 넘고, 행복주택은 작지만 비싼 편

반응형
LIST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로 써먹는 경제 용어 460  (0) 2023.02.15
월세 환급은 세액공제, 급여통장으로 입금  (0) 2022.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