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기획 지식

앱 스토어 A/B 테스트

그로잉총총이 개인기록 2022. 8. 29. 16:50
728x90
반응형

A/B 테스트의 핵심은 특정 요인에 변화를 주었을 때의 성과를 관찰하고, 지속적인 변화 주기와 테스트를 통해 결과물을 ‘꼬리물기’처럼 개선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설을 설정할 때 ‘내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해야만 인사이트를 도출해내고 유의미한 테스트를 지속할 수 있습니다.

A/B 테스트의 목적은 당장의 전환율을 끌어올리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행동으로부터 인사이트를 도출하여 궁극적으로 더 나은 의사 결정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 잠재 고객들의 행동 패턴과 선호도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이 중요합니다.
최초 테스트를 통해 도출한 인사이트와 채택된 안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변형을 시도하여 테스트를 진행해 주세요.
사실 변형을 주었다고 해서, A/B 테스트의 결과가 온전히 해당 변수에 의해서 기인되었다고 판단하기는 아주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테스트 준비 과정에서 변형하고자 하는 요소 이외의 환경을 최대한 동일하게 일치시켜준 후, 테스트를 진행



1. ios 앱스토어에서 아이콘 정보 변경 시 별도 베포가 필요함.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A/B테스트를 여러 차례 거쳐 진행 후 IOS 앱스토어에 적용하기

2. 주목도가 높은 부분(동영상, 스플래시 이미지 상위 3개) 먼저 변경 후 주목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앱 요약글)은 후차적으로 fine-tuning
= 굵직한 부분들을 먼저 바꾸고 Fix한 후, 세부 사항에 대한 Fine-tuning을 하는 것이 더욱 낫다

3. 동영상은 앱의 기능 설명 부분만 잘라 포함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30초 동영상의 경우 앞단의 브랜딩 영역, 뒷단은 앱의 기능을 설명하는 부분이라면 풀 영상 대비 기능을 설명한 부분만 잘라 첨부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4. 최적의 안을 선정해 적용할지라도 플레이스토어에서 검수 후 반려할 가능성이 있다. 즉 A/B 테스트 시에는 검수를 하지 않으나, 최종안 선정 및 전체 모수에게 적용 시에는 검수를 한다. 예를 들어 스토어의 각 영역에 동일한 설명이 2번 이상 들어간 경우, 반려 대상이 된다.

5. 디자인팀에게 성공 경험 공유
이 작업을 왜 하는 것인지, 실제로 작업을 했더니 어떠한 성과가 나는지 알려주어 동기부여하는 것이 중요

출처 : 스토어 전환율 높이는 A/B 테스트 : 안드로이드, IOS
-정리 깔끔함
https://blog.thebackend.io/?p=3122

 


[권장사항]
명확한 목표를 정합니다. 실험을 설계할 때는 달성할 목표나 해결하려는 문제를 염두에 둡니다.

한 번에 하나의 속성만 테스트합니다. 완전히 다른 디자인을 비교하여 테스트하는 것이 아니라면 한 번에 하나의 변형만 테스트하여 명확한 결과를 얻으세요. 또한 아이콘과 그래픽 이미지의 유사한 변경사항을 함께 테스트합니다. 예를 들면 게임에서 개체 사용과 캐릭터 사용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앱 아이콘을 테스트합니다. 앱 아이콘은 사용자가 검색결과와 카테고리 목록에서 앱을 선택하는 데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가장 먼저 테스트하세요.

등록정보의 모든 속성을 테스트합니다. 아이콘을 테스트한 후에는 스크린샷과 간단한 설명을 테스트하세요. 이 항목은 검색결과와 카테고리 목록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되므로 중요합니다. 스토어 등록정보 페이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그래픽 이미지도 우선적으로 테스트하세요.

최소 7일 동안 실험을 진행합니다. 며칠 만에 충분한 트래픽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더라도 평일과 주말의 행동을 모두 파악할 수 있도록 일주일 동안 테스트를 진행하세요.

사용자의 50%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행합니다. 가능한 한 많은 테스트 사용자를 실험 대상에 포함하면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습니다. 적은 비율의 사용자에게만 표시되는 현지화 테스트의 경우에 특히 유용합니다.

그래픽과 텍스트를 테스트할 때 3개 이상의 대안을 준비합니다. 고해상도 아이콘, 그래픽 이미지, 스크린샷, 프로모션 동영상, 간단한 설명, 자세한 설명의 경우 몇 가지 버전을 테스트하여 가장 우수한 성과를 얻을 수 있는 버전을 확인하고 스크린샷의 순서를 실험해 보세요.

반복합니다. 다양한 미적 요소를 대담하게 테스트하고 반복 실행하여 발견한 점을 확인하여 개선하세요.


출처 : 앱 스토어 A/B 테스트 권장사항 및 Google Play Store 주요기능
https://developer.android.com/distribute/best-practices/grow/store-listing-experiments


 

[주의할점]
정말 될 법한 가설을 세우고 제한된 리소스내에서 해당 A/B 테스팅을 진행할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먼저 한다면 더욱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사용자를 잘 이해하고 있다면 생각보다 가설이 잘 들어맞는다).

출처 : 알라미의 A/B 테스팅 일지
https://medium.com/delightroom/%EC%95%8C%EB%9D%BC%EB%AF%B8%EC%9D%98-a-b-%ED%85%8C%EC%8A%A4%ED%8C%85-%EC%9D%BC%EC%A7%80-1-eb811fe72a17

 

알라미의 A/B 테스팅 일지 #1

A/B 테스팅을 하면서 다른 팀들은 어떤 가설을 기반으로 어떠한 결과를 냈는지 궁금한 적이 많았는데, 이번 기회에 알라미에서 진행했던 A/B 테스팅 중 몇몇 경험들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medium.com

 


[ASO] Apple App Store 에서도 A/B test 가능! 그렇지만 불편한 점도...🤔
https://21eve.tistory.com/21

 

[ASO] Apple App Store 에서도 A/B test 가능! 그렇지만 불편한 점도...🤔

애플 앱스토어 페이지에서 A/B test하기 몇 달 전부터 앱스토어 커넥트에서 앱스토어 제품 페이지 정보에 대한 A/B test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관련 페이지에서는 "App Store 제품 페이지에서 각기 다른

21eve.tistory.com

 

반응형
LIST